작성일 댓글 남기기

호올스의 역사

호올스(Halls)

호올스의 역사

호올스는 2015년 이후 모노델리즈 인터내셔널(Mondelēz International)이 소유한 영국의 멘솔 향이 감도는 진해제(기침억제제)로, 2016년에는 영국에서 판매된 비상약 중에서 가장 많이 팔린 브랜드 중 하나로, 매출이 3250만 파운드(약 600억원)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호올스의 역사(History of Halls)

호올스의 역사는 꽤나 오래되었습니다. 호올스는 1893년 토마스 하롤드 호올(Thomas Harold Hall)과 노만 스미스 호올(Norman Smith Hall)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진해제의 제조는 1930년대에 란카셔의 화이트필드 스탠리 로드(Stanley Road, Whitefield, Lancashire)에서 처음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호올스는 1964년 워너-램버트(Warner-Lambert)에 인수되었으며 1970년 런클리프의 더머스 레인(Dumers Lane)으로 생산이 이전되었습니다. 2000년 6월에 파이저(Pfizer)가 워너-램버트를 인수했으며, 2년 후 브랜드는 카드버리 슈웹스(Cadbury Schweppes)에 의해 인수되었고, 이후 크래프트 푸드스(Kraft foods)에 의해 구조 조정되었습니다.

서두에 언급했던 것 처럼 현재는 모노델리즈 인터내셔널(Mondelēz International)이 소유하고 있습니다.

약으로서의 호올스(Halls)

호올스는 멘솔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는 국소 마취제 역할을 하며 “냉감 효과”를 일으킵니다. 또한 기침 억제제로 작용합니다.

호올스에 관한 재미있는 사실

브라질을 포함한 일부 국가에서는 호올스를 멘솔 향의 딱딱한 캔디로 광고하며 기침 치료제로 인식되지 않습니다. 영국에서는 호올스 엑스트라 스트롱 제품에서 최근 기침 및 유효 성분에 대한 언급을 모두 제거하고, 이제 내용물을 “엑스트라 스트롱 오리지널 플레이버 딱딱한 사탕”으로 설명합니다.

 

이번 호올스의 관한 얘기는 주로 위키피디아를 참고하였습니다.

 

*기타 재미있는 상식

민간이 운영하는 교도소가 있다고?

작성일 댓글 남기기

막걸리의 유래

막걸리 유래(이름)

 

막걸리의 유래

‘막걸리’라는 말의 유래는 두가지 설이 있습니다.

  1.  막(금방) 거른 술
  2.  막(마구) 거른 술

 

막걸리의 역사

막걸리의 유래

김부식이 쓴 삼국유사의 가락국에 대한 내용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요례()를 빚었다”는 기록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삼국시대부터 탁주를 만들어 제사를 지냈다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중국 고서 “해동역사”에 “쌀로 빚은 신라주”에 대한 기록이 있는 걸로 보아 삼국시대 이전 농경사회의 시작부터 부터 탁주를 만들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고려시대부터는 동국이상국집 등 여러가지 문헌에 구체적인 술 이름이 등장하기 시작하는데, 백주, 탁주, 박주 등의 막걸리 별칭들이 고려시대부터 계속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고려시대에는 특히 고급 탁주로 현재 복원되어 상품으로 출시되고 있는 이화주에 대한 기록도 “동국이상국집”, “한림별곡”, “고려사” 등의 문헌에 등장합니다.

일제 강점기 동안은 조선총독부가 주세법(1909년)과 주세령(1916년)을 만들어 허가를 받지 않고는 술을 빚을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조선시대부터 이어오던 우리 술 문화의 다양성이 훼손되었습니다. 그러나 제조가 어렵지 않아 민간에서는 막걸리를 밀주로 만들었습니다.

광복이후에는 한동안 보릿고개 등 식량부족과 정부의 양곡관리법(1965년)으로 순곡주 제조 금지령으로 인해 쌀 대신 주로 밀가루로 막걸리를 만들었습니다. 밀가루 막걸리는 단맛이 덜하고 신맛이 강하며 흰색이 아닌 상아색에 가까운 색깔을 띠었습니다. 식량 사정이 좋아진 1990년대에 들어서는 다시 막걸리를 쌀로 만들었다. 특히 정부에서 비축해 주었던 묵은 쌀을 막걸리 주조에 사용하게 되었으며, 현재는 매우 다양한 막걸리가 시판되고 있습니다.

 

막걸리의 생산

 

막걸리의 유래

막걸리는 그 제조 과정이 비교적 단순하기 때문에 조선시대에 가양주(家釀酒)라 해서 집집마다 각자의 방식대로 막걸리를 제조하여  즐겨왔습니다. 주재료인 쌀을 누룩을 이용하여 발효시키면 되므로 누구나 손쉽게 제조할 수 있습니다.

대량 생산되는 막걸리는 전통적인 누룩 대신 공장제 발효제로 양조되며, 물에 희석을 하며 아스파탐 등의 감미료도 첨가된다. 이렇게 하면 누룩을 넣지 않고도 알코올을 달콤하게 만들 수 있고, 유통기한도 길어집니다. 그러나 최근 아스파탐이 발암물질 중 하나로 알려지면서 아스파탐이 첨가되지 않은 막걸리도 시판되고 있습니다.

이외 갖가지 과일이나 인삼 향 등을 첨가하여 제조되기도 하며 현재 대한민국에는 1000개의 이 첨가되는 경우도 있다. 인공 첨가제가 없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새로운 고급 막걸리를 생산하는 양조장도 다수 존재합니다. 2022년 현재 1000여개의 막걸리 양조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막걸리의 칼로리

막걸리의 유래

막걸리 한병의 칼로리는 약 310kcal입니다. 100g으로 환산했을 경우 42kcal로서 이는 소주 117kcal, 맥주 47kcal에 비해 낮은  칼로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막걸리의 효능

막걸리의 효능

막걸리의 대표적이 효능 중 하나가 변기의 개선입니다. 막걸리에는 유산균이 풍부하게 들어있으므로 소화기능을 활성화 시켜주며 면역력을 증가시켜줍니다.

또한 막걸리에 포함된 파네졸, 스쿠알렌 성분은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시킨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외에도 비타민B, 페닐알라닌 성분은 피부미용에 좋으며 통풍의 원인으로 알려진 요산 수치를 내려준다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효능들은 적당히 섭취했을 경우에만 효과를 볼 수 있으며 과음을 하였을 경우에는 좋은 효과 보다 나쁜 효과가 더 많다는 걸 명심하였으면 좋겠습니다.

개인의 건강 상태와 음주 습관에 따라 다르겠지만 막걸리의 하루 권장량은 1~2잔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식사를 하면서 반주를 할 수 있는 정도의 수준이라고 보여집니다.

 

*기타 유용한 상식

맥주의 역사

 

 

 

 

작성일 댓글 남기기

미역의 칼로리는?

미역 칼로리

미역의 효능

  1. 해조류인 미역과 다시마는 알긴산이라는 주요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미세먼지 속 중금속을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준다.
  2. 미역은 요즘처럼 예고 없이 찾아오는 미세먼지 때문에 걱정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선택이다.
  3. 미역은 요오드와 철분 등이 풍부하여 출산한 산모의 건강을 보호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4. 미역은 다이어트에도 좋은 저열량 저지방 식품으로, 포만감을 주는 수용성 식이섬유와 다양한 미네랄, 비타민을 제공한다.
  5. 미역에는 칼슘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어 뼈 건강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된다. 특히 여성들에게 중요한 영양소다.
  6. 식이섬유 함량이 높아 변비 예방에 효과적이며, 장내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유산균의 먹이가 된다.

미역의 칼로리

미역은 100g당 18kcal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미역의 영양소(100g당)

분류
영양성분
100g 당
함량
단위
100g당
1일 영양성분
기준치 대비 %
일반성분
일반성분
에너지
12.00
12.0
일반성분
수분
91.20
g
91.2
일반성분
단백질
1.68
g
1.7
3%
일반성분
지질
0.29
g
0.3
1%
일반성분
탄수화물
3.70
g
3.7
1%
일반성분
총당류
0.00
g
0.0
0%
일반성분
자당
0.00
g
0.0
일반성분
포도당
0.00
g
0.0
일반성분
과당
0.00
g
0.0
일반성분
유당
0.00
g
0.0
일반성분
맥아당
0.00
g
0.0
일반성분
갈락토오스
0.00
g
0.0
일반성분
총 식이섬유
3.60
g
3.6
14%
일반성분
수용성 식이섬유
0.90
g
0.9
일반성분
불용성 식이섬유
2.60
g
2.6
일반성분
회분
3.13
g
3.1
지방산
지방산
콜레스테롤
0.24
0.2
0%
지방산
총 지방산
0.16
g
0.2
지방산
총 필수 지방산
0.02
g
0.0
지방산
총 포화 지방산
0.08
g
0.1
1%
지방산
부티르산(4:0)
0.00
0.0
지방산
카프로산(6:0)
0.00
0.0
지방산
카프릴산(8:0)
0.00
0.0
지방산
카프르산(10:0)
0.00
0.0
지방산
라우르산(12:0)
0.00
0.0
지방산
트라이데칸산(13:0)
1.04
1.0
지방산
미리스트산(14:0)
7.02
7.0
지방산
펜타데칸산(15:0)
0.65
0.6
지방산
팔미트산(16:0)
38.63
38.6
지방산
헵타데칸산(17:0)
0.58
0.6
지방산
스테아르산(18:0)
2.75
2.8
지방산
아라키드산(20:0)
1.23
1.2
지방산
헨에이코산산(21:0)
0.00
0.0
지방산
베헨산(22:0)
0.00
0.0
지방산
트리코산산(23:0)
24.46
24.5
지방산
리그노세르산(24:0)
0.00
0.0
지방산
총 단일 불포화지방산
0.02
g
0.0
지방산
미리스톨레산(14:1)
0.00
0.0
지방산
팔미톨레산(16:1)
1.05
1.0
지방산
헵타데센산(17:1)
0.00
0.0
지방산
올레산(18:1(n-9))
17.61
17.6
지방산
박센산(18:1(n-7))
0.16
0.2
지방산
가돌레산(20:1)
0.00
0.0
지방산
에루크산(22:1)
0.18
0.2
지방산
네르본산(24:1)
0.00
0.0
지방산
총 다중 불포화지방산
0.06
g
0.1
지방산
리놀레산(18:2(n-6)c)
9.50
9.5
95%
지방산
알파 리놀렌산(18:3(n-3))
10.20
10.2
785%
지방산
감마 리놀렌산(18:3(n-6))
0.00
0.0
지방산
에이코사디에노산(20:2(n-6))
16.70
16.7
지방산
에이코사트리에노산(20:3(n-3))
0.00
0.0
지방산
에이코사트리에노산(20:3(n-6))
1.40
1.4
지방산
아라키돈산(20:4(n-6))
0.00
0.0
지방산
에이코사펜타에노산(20:5(n-3))
16.70
16.7
지방산
도코사디에노산(22:2)
0.70
0.7
지방산
도코사펜타에노산(22:5(n-3))
0.00
0.0
지방산
도코사헥사에노산(22:6(n-3))
0.00
0.0
지방산
오메가 3 지방산
0.03
g
0.0
지방산
오메가 6 지방산
0.03
g
0.0
지방산
트랜스 지방산
0.00
g
0.0
지방산
트랜스 올레산(18:1(n-9)t)
0.25
0.2
지방산
트랜스 리놀레산 (18:2t)
0.13
0.1
지방산
트랜스 리놀렌산(18:3t)
1.78
1.8
지방산
총 불포화지방산
0.08
g
0.1
아미노산
아미노산
총 아미노산
1,545.00
1,545.0
아미노산
필수 아미노산
794.00
794.0
아미노산
이소루신
53.00
53.0
아미노산
루신
99.00
99.0
아미노산
라이신
69.00
69.0
아미노산
메티오닌
27.00
27.0
아미노산
페닐알라린
60.00
60.0
아미노산
트레오닌
61.00
61.0
아미노산
트립토판
252.00
252.0
아미노산
발린
68.00
68.0
아미노산
히스티딘
40.00
40.0
아미노산
아르기닌
65.00
65.0
아미노산
티로신
41.00
41.0
아미노산
시스테인
13.00
13.0
아미노산
알라닌
188.00
188.0
아미노산
아스파르트산
125.00
125.0
아미노산
글루탐산
165.00
165.0
아미노산
글리신
75.00
75.0
아미노산
프롤린
48.00
48.0
아미노산
세린
61.00
61.0
아미노산
타우린
35.00
35.0
무기질
무기질
칼슘
79.00
79.0
11%
무기질
0.46
0.5
4%
무기질
마그네슘
54.00
54.0
17%
무기질
54.00
54.0
8%
무기질
칼륨
1,112.00
1,112.0
32%
무기질
나트륨
361.00
361.0
18%
무기질
아연
0.14
0.1
1%
무기질
구리
0.03
0.0
0%
무기질
망간
0.0
0%
무기질
셀레늄
0.01
0.0
0%
무기질
몰리브덴
0.00
0.0
0%
무기질
요오드
1.59
1.6
1%
비타민
비타민
비타민 A(RAE)
0.0
0%
비타민
레티놀
0.0
비타민
베타카로틴
0.0
비타민
비타민 D(D2+D3)
0.00
0.0
0%
비타민
비타민 D2
0.00
0.0
비타민
비타민 D3
0.00
0.0
비타민
비타민 E
0.08
0.1
1%
비타민
알파 토코페롤
0.08
0.1
비타민
베타 토코페롤
0.00
0.0
비타민
감마 토코페롤
0.00
0.0
비타민
델타 토코페롤
0.00
0.0
비타민
알파 토코트리에놀
0.00
0.0
비타민
베타 토코트리에놀
0.00
0.0
비타민
감마 토코트리에놀
0.00
0.0
비타민
델타 토코트리에놀
0.00
0.0
비타민
비타민 K
0.0
0%
비타민
비타민 K1
35.90
35.9
비타민
비타민 K2
0.0
비타민
비타민 B1
0.06
0.1
8%
비타민
비타민 B2
0.07
0.1
7%
비타민
니아신
0.0
0%
비타민
나이아신(NE)
0.0
비타민
니코틴산
0.0
비타민
니코틴아마이드
0.0
비타민
판토텐산
0.00
0.0
0%
비타민
비타민 B6
0.0
0%
비타민
피리독신
0.00
0.0
비타민
비오틴
2.25
2.2
7%
비타민
엽산(DFE)
29.00
29.0
7%
비타민
엽산 – 식품 엽산
29.00
29.0
비타민
엽산 – 첨가 엽산
0.00
0.0
비타민
비타민 B12
0.98
1.0
42%
비타민
비타민 C
7.50
7.5
8%
기타
기타
식염상당량
0.90
g
0.9
기타
폐기율
0.00
%
0.0

*식약처 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자료